본문 바로가기
예술

서양미술사-불가사의한 기원

by 윤바다씨 2023. 12. 14.

선사시대 및 미개사회, 고대 아메리카

 

우리는 마치 언어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지 못하는 것 이상으로 미술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모른다. 만일 사원이나 주택의 건조, 그림이나 조각의 제작, 옷감 짜는 것 등을 모두 미술이라고 간주한다면 미술을 지니지 않은 사람들은 이 세상에 없다.

한편 우리가 어떤 종류의 아름다운 사치품, 미술관이나 전람회에 진열되는 어떤 것, 멋있는 응접실에 값진 장식품으로 쓰이는 어떤 특별한 것 등을 미술이라고 의미한다면, 우리는 미술이라는 단어의 이와 같은 사용은 매우 최근에 발전한 것이며, 과거의 많은 위대한 건축가, 화가, 조각가 등은 꿈에도 생각지 못한 것이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이 문제를 건축과 연관시켜 생각한다면 그 차이점은 훨씬 명확해진다.

우리는 많은 건축물에 대해서 알고 있으며, 그것들 중의 일부는 진정한 미술 작품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건물은 특수한 목적 아래 세워진다. 이러한 건물들을 예배나 오락 또는 주거를 위해 이용하는 사람들은 각각 이들 건물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용성의 기준에서 판단한다.

그러나 이점과 달리 그들은 그 구조의 디자인이나 비례에 대해 좋아할 수도 싫어할 수도 있으며, 훌륭한 건축가의 노력으로 그 건물이 실용적일 뿐 아니라 '제대로'되어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회화와 조각에 대해서도 이와 비슷한 태도를 취했다.

그것들은 순수한 미술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일정한 기능을 가진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주택이 세워지게 된 동기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은 그 주택에 대해 올바른 평가를 내릴 수가 없다. 이와 비슷하게 고대의 미술 작품이 무슨 목적에서 만들어졌는지 모른다면 그것을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수록 미술 작품의 제작목적은 더욱 한정돼 있으나 더욱 생소하게 된다. 우리가 도시를 떠나서 농촌으로 들어갈수록, 아니면 문명 세계를 떠나서 여전히 우리의 원시 조상들과 유사한 생활을 하고 있는 미개 지역을 여행할 경우에도 같은 말이 적용된다. 우리는 이러한 사람들을 미개인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우리보다 단순해서가 아니라-그들의 사고과정은 흔히 우리보다 더 복잡하다-우리 모든 인류가 한때 거쳤던 문명 이전 상태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그들에게는 실용성에 관한 한 건조물과 형상의 창조 사이에 차이점이 없다. 그들의 오두막은 비와 바람과 햇빛과 이것들을 만들어낸 정령들로부터 피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이 형상들은 그들이 자연의 힘과 마찬가지로 현실적이라 생각했던 다른 위력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보호할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그들의 그림과 조각은 즉 마술을 부리는 데 쓰였다.

이 미술의 이상한 기원을 이해하고자 희망한다면, 우리는 미개인의 마음속에 들어가 보려고 노력하고 또 그들로 하여금 그림을 단지 보기 좋은 것으로서가 아니라 '사용'하는 데 위력이 있는 어떤 것으로 생각하게끔 만든 체험의 정체가 어떤 종류의 것인지를 알아보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나는 이 같은 느낌을 다시 찾아내는 것이 그다지 어렵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필요한 것은 우리 자신에 대해 솔직할 수 있는 의지가 우리에게 있느냐 하는 것이며, 우리 자신 속에 '미개적인 것'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빙하시대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 속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가 오늘날 신문에서 우리가 좋아하는 야구선수나 영화배우의 사진을 보았을 때 우리는 바늘을 집어 그들의 눈에 구멍을 뚫을 것인가. 우리가 한 짓에 대해 신문지면의 다른 부분에 구멍을 뚫은 것처럼 무관심할 수가 있을 것인가.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그 사진에 대해서 한 짓은 내 친구나 내가 영웅으로 생각하는 인물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맑은 정신에 아무리 잘 알고 있다 할지라도 나는 여전히 막연하게 그와 같은 짓은 하고 싶지 않다고 느낀다. 그 사진에 대해 저지른 짓은 실제 그 인물에 대해 범한 것이라는 불가사의한 묘한 느낌이 어딘가 꺼림칙하게 남아있다. 그때 내가 갖는 느낌이 옳다면, 또 온ㄹ날 원자력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가운데서도 이렇게 기이하고 불합리한 생각이 살아남아 있다면, 미개인들이 그 같은 생각을 가졌다는 것은 하나도 놀라울 것이 없다. 전 세계의 마술사나 무당은 적의 형상을 만들어 그 저주받은 인형의 가슴을 뚫거나 태워 버리고 실제의 적이 고통을 받기를 기원하는 등의 마술을 부린다. 영국에서 '가이 포크스 데이'(가이 포크스가 영국 의회를 폭파하려다가 체포된 고상서 비롯한 런던의 연중행사로서, 11월 5일 열린다. 이날 어린아이들은 그의 인형을 태우는 풍습이 있다.-역주)에 태우는 가이 포크스의 인형도 이러한 미신의 잔재이다. 아프리카의 흑인들은 때때로 어린애들처럼 무엇이 그림이고 무엇이 현실인지 잘 분간을 못 한다. 실제로 한 유럽 화가가 그들의 소를 그렸을 때 그들은 실망하여 "당신이 그 소들을 가져가 버리면 우리는 무얼 먹고 사느냐"라고 반발하더라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기묘한 생각들은 현재에까지 잔존해 내려온 가장 오래된 회화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그림들은 인간의 가장 오래된 재능의 흔적들이다. 시기는 빙하시대 가까이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우리의 선조들은 동굴 생활을 했고 가장 조야한 석기들만 사용할 때였다. 그런데도 그러한 동굴의 천장과 벽. 특히 스페인과 남프랑스 지방에서는 주로 그들이 사냥하는 동물들, 즉 순록 들소 야생마 등의 그림들이 발견되고 있다.